(출처 : 가톨릭대학교 정보시스템개론 사이버캠퍼스)

CSE 05289-01 정보시스템 개론

Spring 2015– Jung-Jin Yang

Final Group Project

 

공공기관/Mobile Mashups 서비스

2015년도 정보시스템개론 교과목 프로젝트의 수행 목적은 최근 상에 존재하고 있는 유용한 서비스들을 찾아 가지 이상의 서비스를 엮어 새로운 서비스로 창조하는 매쉬업(Mashups) 서비스에 대한 분석과 과정을 경험하고자 하는데 목표를 둔다. 개인, 기업, 사회 전반에 유용한 다양한 형태와 범위에 존재하는 Mashups 웹서비스에 있는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 의해서 가능하다.

가지 이상의 자원이나 서비스를 엮는 기준은 새로운 서비스가 갖는 가치 사슬 창조에 기본을 둔다. 프로젝트 팀은 Mashups서비스의 기술 적용 사례를 살펴 보고 개인별로 창조하고자 하는 가치 사슬에 준하여 선호 분야를 선택하고, 이들을 아래 보고서 기준에 맞추어 분석을 통하여 보고서를 작성하고 결과물을 발표자료 (i-movie형식)으로 만들어 팀이 제작한 블로그에 제출, 연결한다. (보고서와 발표물)

 

Table of Contents

 

1.    Mashup 정의

2.    Interoperability 장점과 단점

3.    Mobile Mashups 서비스 사례

4.    공공기관 Mash up 서비스의 적용 분야 서비스/해결문제 정의

5.    문제 적용기술의 배경

6.    기술도입/적용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

7.    사용한 OpenAPI 및 기존 Mash up 서비스

8.    활용된 서비스 관련 기술

A.    Web 2.0 기술

B.    그 외의 기술

9.    시스템 아키텍쳐

10. 새로운 서비스의 혜택

11. 서비스의 보완 및 개선할 점

12. 참고자료: 문헌 및 사이트

13. 조원별 역할 평가

A.    기여도

                                 i.         장점

                                ii.         단점

B.    담당역할의 난이도

C.    순위

Bonus: 팀이 직접 매쉬업 서비스 개발 및 시연한 경우 전체 프로젝트 점수의 15% 가산점.

 

발표자료 (10분 내용)

1.    조원 전원이 발표부분 담당하여 제작함

2.    전체적인 흐름과 조율

3.    내용의 질적 수준

4.    내용과 기술의 이해

5.    팀 수행 평가

 

 

주별 보고 및 제출사항

금주의 목표/다룬 내용

각 조원별 역할과 책임

-     역할과 책임에 따른 결과물

다음 주 목표/다룰 내용

 

Posted by 09권기엽
,